낚시 이야기/낚시 출조준비물, 장비

[스크랩] 선외기 정비 점검요령

미해 2012. 11. 15. 10:31

교본 복사 요약입니다,,참고 바랍니다

 

선외기 정비․점검요령

1. 자가 정비와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할 정비

가. 자가정비

 선외기 내․외부 소제, 프로펠러 보수와 교환, 각 부 그리스 주입, 배터리 정비, 기어오일 신환, 연료탱크 및 연료호스와 커넥터의 정비, 보수 도장, 보호아연판의 신환 등 비교적 간단하고 용이한 작업들은 소유자가 직접 함으로서 선외기 관리능력을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정비를 할 수 있다.

나. 전문가에게 의뢰해야 할 정비

다음 부위에 문제 발생시 특별한 지식․기술․공구를 필요로 하기에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정비한다.

     ▷ 카뷰레터 (특히, 카뷰레터가 여러 개인 경우)

     ▷ 시동모터

     ▷ 점화장치의 전기시스템

     ▷ 엔진 내부

     ▷ 기어박스 내부



 2. 정비를 위한 사전준비 및 주의사항


 가. 정비장소 선정

 선외기 정비 시 비가 내리거나 바람이 불어 분해된 선외기에 모래, 먼지 등 이물질이 들어가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정비장소는 가급적 실내에서 하는 것이 좋다. 휘발된 가솔린이나 등유를 추출하기 위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뤄질 수 있는 곳이 필요하며, 단시간으로 정비가 종료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적절하게 보관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구비된 장소를 선택한다.

 나. 필요한 정비공구 등---스패너,롱로즈플라이어,스쿠류드라이버,

     라쳇 소켓랜치핸들,연결대,소켓,브러쉬,고무망치,솔,펜치,점화플러그랜치,

     스프레이(윤활유),거치대,솔,
 

정비공구

스패너 ⇒ 적당한 SIZE별 여러 종류를 준비

롱노우즈 플라이어

스크류 드라이버(+,-), 라쳇 소켓렌치

  ⇒ 정비할 선외기의 나사, 볼트 및 너트와 맞는 SIZE로 준비

브러시                   ▪ 고무망치

                       ▪ 펜치

사포                     ▪ 스프레이-윤활제

점화 플러그 렌치 ⇒ 정비할 선외기 플러그의 사이즈에 맞는지 확인 필요

헝겊                     ▪ 손전등


 

※참고

  공구 셋트는 사용시 필요한 사이즈별로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용하지 않는 렌치와 구분이 필요

작업대

핸들을 돌려 조정하는 클램프식 목재선반 사용권고

선외기 거치대

선외기 편리한 이송과 안정된 정비작업을 위해 사용

부품의 세정용품

등유, 세정용기, 솔 필요

※주의 : 화기엄금!!  환기를 충분하게!!

     

참고서적

선외기 취급설명서 및 정비관련 책자

기타

▪ 이물질침투방지용 비닐시트

▪ 취외한 부품의 정리․보관용 상자



  다. 가솔린에 대한 주의



    ▷ 가솔린에 절대 화기를 가까이 하지 않는다.

    ▷ 보트 내로 가솔린이 샌 경우 발견 즉시 닦아낸다.



  라. 작업 시 주의



    ▷ 엔진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를 벗긴 경우에는 옷, 모자의 끈, 등이 플라이휠에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보트에 탑재된 상태에서 정비 시 엔진이 재기동 되지 않도록 시동장치차단 및 동승자와 상호연락 등의 조치를 취한다.

    ▷ 선외기로부터 취외한 부품은 유실,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바구니 등에 격리 보관한다.



3. 연료탱크 및 필터 소제

가. 탱크의 소제
연료탱크측의 필터망에 오염물질이 끼어있는 경우 연료가 제대로 주입되지 못해 엔진의 회전이 불안정해지므로 탱크를 흔들어서 오염물질을 떨어뜨려 보십시오. 오염물질이 많아 탱크를 소제해야할 경우 다음 순서에 따라주십시오.

    1) 탱크 내부 연료를 재사용하기 위해 이물질이나 물을 최대한 배제하여 빼낸다.

    2) 탱크를 기울여 탱크의 바닥에 쌓여있는 오염물을 1개소에 모으고 플라스틱으로 된 등유용 펌프를 이용해 추출한다.

    3) 소량의 깨끗한 연료를 탱크에 넣은 후 탱크를 흔들어 내부를 헹궈준다.

 

호스내에 고여있는 오염물질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떨어뜨려 보십시오.

     1) 프라이밍펌프에서 연료탱크측의 호스를 떼어낸다.

        (호스고정장치를 드라이버 등으로 풀어서 펌프를 떼어낸다.)

     2) 호스에 숨을 불어넣거나 압축공기를 주입해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나. 필터의 소제

 연료 및 오일에 섞인 이물질은 필터를 통과하면서 걸러져 필터 외부에 쌓이게 됩니다. 필터의 소제는 필터 외부표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말합니다.

    소제방법은 취외한 필터를 깨끗한 가솔린이나 등유가 담긴 용기에 넣고 손으로 잡은 채 가볍게 흔들어서 이물질을 떨쳐 냅니다.

             ※ 절대로 화기를 사용하여서는 안됩니다.

필터의 명칭

윤활방식

역할. 정비, 기타

혼합연료식

타입

분리급유식

타입

인간(人間) 필터





-이물질이 탱크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함.

(실제는 이것이 가장 효과적임)

연료탱크 필터





-미세한 망으로 연료내에 부유하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 특히, 모래먼지 입자가 있는 곳에서 급유하는 기회가 많은 경우 필요함.

-가끔 연료탱크를 흔들어 망으로 유도하여 걸려있는 이물질을 떨어뜨린다.

엔진측 연료필터





-연료탱크내 필터를 통과한 이물질을 다시 한번 걸러준다.

-연료내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필터의 캡내에서 침전되어 어느 정도는 제거된다.

-1년에 1회 정도 떼어내 소제한다.

오일탱크 필터

해당없음



-그물코가 아주 미세한 망으로서 오일내에 부유하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1년에 1회 정도 떼어내 소제한다.

오일 호스 필터

해당없음



-오일을 보내는 호스 중간에서 대단히 가는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

-오일의 흐름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취부시 유의한다. (화살표방향을 바꿔 취부하면 오일이 흐르지 않는다)



   ▷엔진측 연료필터의 소제



    ① 연료유입측의 호스클립을 아래로 빼어낸다.

    ② 프라이밍펌프로 호스에서 용기로 연료를 빼어낸다.

    ③ 연료필터컵을 손으로 돌려서 들어낸다.


    ④ 컵 내부에 침전된 오염물질을 닦아내고 필터망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깨끗한 연료로 씻어낸다.

    ⑤필터컵을 원래대로 끼운 후 프라이밍 벌브를 수회 움켜줘 연료가 필터로 흘러가는가를 확인한다.


   ☞연료필터컵이 들어내기 힘든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필터본체를 엔진에서 떼어내십시오.



4. 스파크 플러그의 점검과 정비

 가. 스파크 플러그의 취부와 취외

 스파크 플러그의 취부와 취외는 다음 순서로 행하고 이 때 중요한 것은 플러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스파크 플러그 전용의 렌치를 사용하기 바랍니다.

 ▷취외방법

    ① 엔진을 멈춘다. 동승자가 있는 경우 동승자가 무심코 시동스위치를 넣지 않게 조치한다.

    ② 엔진커버를 떼어내 스파크 플러그 캡을 빼낸다.

    ③ 스파크플러그렌치로 스파크플러그를 푼다.

    ④ 손으로 돌려서 빼낸다.


 ▷취부방법

    ① 손으로 돌려서 단단히 조인다.

    ② 스파크플러그렌치로 죄는 강도에 따라 1/4 ~ 1/2바퀴 더 돌려 조인다.

       (파손우려가 있으니 너무 세게 죄지 않는다)


 나. 스파크플러그의 정비와 보관

 ▷ 스파크플러그의 전극 사이를 샌드페이퍼(600~1,000번)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소제한다.

   ▷ 전극의 간격을 1mm 정도로 조정한다.

   ▷ 떼어낸 스파크플러그를 부착하기전에 깨끗한 천으로 닦고 스프레이식 윤활제를 뿌려준다.

   ▷ 정비후 스파크플러그를 스파크플러그캡에 끼워 엔진의 금속부분(도장이 안되어 있는 부분)에 접촉함과 동시에 시동조작하여 불꽃이 튀는지를 확인한다.

 

   ▷ 스파크플러그를 떼어낸 부분에 비나 해수가 들어가지 않도록 천으로 덮어둔다.

   ▷ 엔진이나 연료, 오일의 상태에 따라 스파크플러그의 수명이 달라지지만, 보통 2년정도 사용후 신환한다.


 5. 그리스의 도포와 주입

 가. 칠(또는 스프레이) 하는 부분

 ▷스로틀 조작으로 마찰되는 부분
 ▷엔진커버의 로크(Lock)기구
 ▷클램프 나사부분

  나. 그리스니플에 주입하는 부분 (그리스건 필요)

    ▷트림(Trim)축 그리스주입용 니플

    ▷스티어링축 그리수주입용 니플

 

6. 기어오일의 교환

기어케이스에 들어있는 오일(엔진오일은 아님)은 1~2년마다 교환하여 주십시오. 오일의 교환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선외기를 수직으로 세운다.
  2)폐유용 용기(500cc정도)를 선외기 하부의 기어케이스 아래에 둔다.
  3)아래 사진에 보이는 공기배출볼트를 푼다.
  4)오일드레인 볼트를 풀면 오일이 배출됩니다.

     ☞오일체크 포인트

       ▷ 쥐색이면 정상

       ▷양이 매우 적은 경우 : 오일이 누설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흰우유색일 경우 : 수분이 혼입됨(오일누설부위를 찾는다.)

    5) 오일배출볼트의 구멍에 윤활유튜브를 넣고 오일을 주입한다.

    6)공기배출볼트의 구멍으로부터 오일이 나오면 주입을 정지한다.

    7)공기배출볼트를 잠그고 튜브를 빼어내면서 곧바로 오일배출볼트를 잠근다.

 

 7. 오일펌프의 공기배출 (2사이클 분리급유식 엔진)
 엔진의 오일을 모두 뺀 상태에서 오일탱크에 오일을 새로이 채우는 경우 오일펌프에 잔존하는 공기를 배출을 하지 아니하면 엔진에 시동을 걸어도 오일의 흐름이 원활하지 아니하여 엔진이 손상되게 된다.

 ▷오일펌프 공기배출방법

 1)엔진을 수직으로 세운다

  2)오일탱크에 오일을 가득 채운다.

 3)오일펌프의 공기배출나사를 살짝 푼다.

      (공기배출나사를 푸는 동시에 기포와 오일이 나옴)

    4)흘러나온 오일을 천으로 닦아낸다.

    5)기포가 없어지고 오일만 나오면 공기배출나사를 조인다.

    6)엔진시동 후 잠시 저속으로 주행하여 엔진음과 발열상태를 확인한다.

 

 8. 프로펠러의 점검과 교환

가. 프로펠러의 점검
 선외기 사용 후에 물로 세척할 때 프로펠러의 상태를 매회 점검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프로펠러가 모래와 마찰하여 블레이드 끝단이 서서히 마모되어 짧고 얇아지는 경우가 있는데, 그로 인해 프로펠러에 걸리는 저항이 적어지고 추진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저항이 적어지게 되면, 엔진에 걸리는 부하가 감소하여 전속시의 회전수가 규정의 상한 값을 초과하여 엔진 각부를 손상시키게 됩니다.
또, 유목이나 암초에 부딪혀 블레이드가 경미하게 변형되었다하더라도 프로펠러가 회전할 때 프로펠러샤프트에 이상진동이 발생하여 샤프트와 관련된 부품(오일 실, 베벨기어 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선외기를 사용한 후 틸트업하여 프로펠러의 변형 및 손상여부, 회전상태를 꼼꼼히 점검하는 습관을 가져 타 부위의 추가손상을 막아야 하겠습니다.

 프로펠러에 금이 간 부분이 있다면 신환하고, 작은 손상이나 변형은 면이 가는 (쇠)줄로 형태를 다듬고 샌드페이퍼로 연마하고 나서 자동차용 스프레이 도료를 칠합니다. 도장을 해두면 손상이나 마멸을 발견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나. 프로펠러의 교환



    프로펠러의 취외는 다음의 순서로 행하여 주십시오.



    1) 선외기를 틸트업하고 기어를 중립(neutral)에 놓는다.

      (기어를 전진 또는 후진에 놓은 상태에서 렌치로 너트를 돌리면 내부의 부품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손상되니 주의)

    2) 프로펠러의 블레이드와 본체 사이에 아래 그림과 같이 적당한 굵기의 나무 조각을 대어 프로펠러가 회전하지 않게 한 후 프로펠러 너트를 렌치로 푼다.

      (너트에 풀림방지를 위한 쐐기핀이 붙어 있는 경우 빼낸다)


    3) 너트가 빠지면 양손으로 블레이드를 잡고 프로펠러축의 방향으로 똑바로 프로펠러를 빼낸다.

    4) 프로펠러축에 낚싯줄이나 비닐 등이 얽혀 있으면 제거한다.

      (그대로 두면 기어케이스내 오일의 누설을 막는 오일 실이 손상됨)

새로운 프로펠러를 취부할 때는 분해 시와 역순으로 실시하고 프로펠러 너트를 잠굴 때도 풀 때와 마찬가지로 나무조각을 대어 프로펠러를 고정합니다. 쐐기 핀은 여러 번 구부리게 되면 끊어지기 쉬우므로 가급적 빼어낼 때마다 신품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9. 임펠러의 교환
임펠러는 냉각수를 빨아올리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이 부품은 합성고무제로 엔진 회전 중에는 상시 금속의 케이스 벽과 마찰하며 회전하고 있습니다. 물이 윤활제로 되어 있으므로 쉽게 마모되지는 않지만, 장시간 사용하면 마찰에 의해 마모 및 경화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 교환시기의 판단
   임펠러의 마모나 노화의 속도는 선외기의 사용빈도나 사용 후 물로 세척하였는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사용 개시 후 3년 이상 경과한 선외기에서는 임펠러의 경화나 마모가 진행됩니다. 임펠러의 상태는 실제로 분해해 보지 않고는 볼 수 없기에 평소 엔진의 발열상태 및 냉각확인수의 분출 상태의 변화에 따라 점검시기를 결정합니다.

  나. 임펠러의 교환

 임펠러의 교환은 간단한 작업이 아니기에선외기의 기본구조를 잘 이해하고 작업하면 아마추어라도 능히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작업대 사용

 선외기 주본체로부터 떼어낸 하부본체는 작업대에 수직으로 고정해 두면 작업이 몹시 하기 쉬워집니다. 작업대가 없는 경우는 지면에 크고 튼튼한 골판지 또는 베니어판을 깔고 그 위에서 이 작업을 실시해 주세요.



 ▷작업상의 주의

 떼어낸 부품은 더러운 것이 붙지 않게 용기에 넣어 두고 작은 부품이나 형상이 비슷한 부품은 설치하는 순서를 알 수 있도록 깨끗한 천위에 펼쳐 놓습니다.

임펠러의 교환이 필요한 선외기는 낡은 경우가 많아 볼트류가 고착해 간단하게 풀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는 스프레이식의 윤활제를 뿜어서 수 시간 이상 두어 녹이나 굳은 염분을 녹이고 나서 볼트를 부러지지 않게 신중하게 풀어 주세요.

▷ 작업순서
임펠러 교환 작업은 선외기 하부본체 분해, 선외기 하부본체로부터 임펠러를 취외 및 조립으로 총 3 단계가 있습니다. 이 작업 중 만일 엔진이 시동하면 몹시 위험합니다. 특히 전동 시동식의 선외기의 경우는 작업 중 시동되지 않게 긴급정지 스위치(락 플레이트)를 때내 주세요. 마이너스 측의 밧데리 케이블(흑색)도 떼어내 두면 확실합니다.

 1) 선외기 하부본체 분해
 선외기를 보트에 설치한 채로 작업을 실시합니다.

       ○ 선외기를 틸트 업하여 낙하하지 않게 잠근다.

       ○ 시프트 로드를 본체로부터 떼어내어 분리한다.

       ○ 선외기 하부본체에 부착된 볼트를 전부 빼낸다.

       ○ 선외기 하부본체를 주본체에서 빼낸다. 고착하여 빠지지 않는 경우는 하부본체와 주본체 사이에 소형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가볍게 넣어 틈새가 어느 정도 벌어지면 하부본체 전체를 양손으로 잡고 흔들면서 당깁니다.



  2) 임펠러 분해

○ 임펠러의 위에 있는 부품을 맨 위에 있는 것부터 1개 씩 드라이브 샤프트에서 빼내고, 떼어낸 순으로 정렬하여 놓는다.

 ○ 임펠러에 손상부가 있는 경우에는 판매점에 주문하여 교환한다.

 3) 조립

  ○ 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행한다. 하부본체의 조립이 끝나고 나서 드라이브 샤프트의 끝단(울퉁불퉁하게 홈이 파져 있는 부분 : 스프라인 부)에 두껍게 헝겊을 감고 플라이어로 집어 샤프트를 돌린다. 부드럽게 돌아가면 정상이고 뻑뻑하게 돌아가는 경우에는 필히 다시 한번 분해하여 조립된 상태를 확인한다.



     ○ 선외기 하부본체와 주본체의 결합면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소제하고 나서 서로 결합한다. 드라이브 샤프트의 스프라인 부를 엔진에 끼워 놓고 동시에 냉각수통로를 주본체측과 연결한다. 연결이 잘 안될 경우, 플라이휠을 조금 돌린 후 연결한다. 하부본체 고정 볼트를 완전하게 취부하고 하부본체와 주본체의 틈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잠그며 너무 세게 잠그지 않는다.



     ○ 조립 후 스파크 플러그를 전부 빼고 나서 플라이휠을 손으로 움직여 엔진을 돌리고 부드럽게 도는지 이상한 소리가 들리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스파크 플러그를 전부 빼내는 이유는 실린더 내에 압력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엔진을 가볍게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경고 :  작업은 밧데리를 접속한 생태에서는 절대로 행하지 말아주세요.

                사고 많음 

 10. 도장의 보수
 칠이 벗겨지거나 녹이 슬고 부식되면 곧 문제발생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방치해 두게 되면 모르는 사이에 점점 손상되어 큰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 보수방법

    1)도장부분을 물로 씻고 가솔린 등으로 유분을 제거한 후 충분히 건조시킨다.

    2)부식된 부분이나 녹이 슨 부분을 와이어브러쉬나 사포 등으로 벗겨내고 제거한다.

    3)자동차용 스프레이페인트를 일차로 가볍게 뿌린 후 마르면 다시 뿌린다. (수회반복)


 ☞자동차용 스프레이페인트가 좋은 것은 아니지만 일반인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보호아연판에는 절대로 칠하지 마십시오.

 


 11. 방식아연판의 정비와 교환



    선외기를 해수에 담가 두면 해수에 의하여 금속부분이 부식되는데, 선외기의 금속보다 부식성이 큰 금속을 선외기에 부착하면 선외기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적용하여 선외기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선외기 하부본체에 부착하는 것이 방식아연판입니다. 이 보호아연판은 자연적으로 조금씩 부식되어 수년 내에 소멸됩니다.



   ▷ 보호아연판 정비 및 교환방법

    1) 스크류 드라이버로 기존의 보호아연판을 떼어낸다.

    2)보호아연판이 설치되었던 부분을 씻어 이 물질을 떨어낸다.

    3)보호아연판을 다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호아연판 전체를 씻고 브러쉬로 이 물질을 떨어낸 후 원래 위치에 다시 설치한다.

    4) 심하게 소멸된 보호아연판은 새 것으로 교환한다.


 

   ☞ 보호아연판은 절대로 페인트칠을 하지 마십시오. 페인트를 칠하게 되면 선외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없습니다.

 

  12. 배터리 정비



    3개월 이상 충전하지 아니한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 순서로 정비한다.

    1) 배터리 케이블을 검은색 단자(-)측부터 모두 떼어낸다.

    2) 수돗물을 충분히 뿌리면서 브러쉬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이물질을 씻어내고 잘 건조시킨다.

    3) 배터리의 +와 -단자에 녹을 사포로 문질러 제거한다.

    4) 배터리단자에 그리스를 얇게 도포한다.

    5) 배터리액의 양이 LOWER LEVEL보다 낮은 경우 UPPER LEVEL까지 보충한다. (자동차용 밧데리의 경우 해당사항 아님)



   ☞ 수돗물을 충분히 뿌리면서 브러쉬로 염분, 먼지 등 이물질을 잘 씻어낸다.


 

13. 연료 탱크의 정비

 ▷ 연료탱크 정비방법

    1)연료탱크의 급유캡을 잠그고 공기유통용 나사를 조인다.

    2)탱크를 세게 흔들어 캡에서 연료가 새지 않는지 점검한다. 새는 경우에는 캡을 새것으로 교환한다.

    3)연료탱크를 비운다. (등유용 핸드펌프로 탱크바닥에 고여 있는 이물질과 연료를 완전히 빼낸다.)

    4)캡을 잠그고 탱크 전체를 물로 씻어낸다.

    5)탱크에 녹이 슬어 있는 경우에는 녹을 잘 제거하고 나서 방청도료를 바르고 스프레이도료로 마감한다.


탱크를 세게 흔들어 캡에서 연료가 새지 않는지 점검한다.

탱크에 녹이 슨 경우에는 녹을 잘 제거하고 스프레이 도료를 도장한다.

 ▷ 3개월 이상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의 보관방법

    1) 연료호스연결장치를 선외기에서 분리한다.

    2)선외기측 호스연결부에 천을 감아 먼지나 모래가 묻지 않도록 한다.

    3) 연료탱크를 완전히 비운다.

    4) 급유캡의 공기배출 나사를 푼다.

    5)연료탱크와 호스를 비닐봉지 등으로 완전히 포장하여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출처 : 보낙동
글쓴이 : 강산(충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