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알강좌) 루어낚시릴 바다낚시릴 중 스피닝릴 전격 분석
예 알루체입니다
이미 잊혀진줄 알앗는 알강좌를
계속하려 합니다 ㅠㅠ
이유는 여기저기서 댓글과 쪽지로 압박이 많아요 ㅠㅠ
지난번에 쓰다만
루어낚시와 바다낚시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쓰이는
"스피닝릴"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난이도는 아주 초급부텅
중급까지도 대상으로 할수있겠습니다.
구람...
일단 릴의 역사부텅 한번 살펴볼까여???
자아 ~~ 오랜만에 도표를 한번 만들어 봄니다
잘 안보이니깐 그림을 클릭해보세효
그럼 자세하게 보입니다
사진의 설명은 사진 아랫부분입니다
자아 위를 보면 두가지 종류의 릴이 있습니다.
인스풀타입 (in spool) 과 아웃스풀타입 (out spool)
스풀..그니깐 실이 감겨있는 실패를 말하지요
이게 안쪽에 쳐들어 가잇느냐 깥쪽으로 디벼 나왓느냐에 따른 구분이지요
역사는 인스풀타입 스피닝릴이 먼저입니다
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초 단양에서 쏘가리 낚시할때 많이 쓰였다고 하는군요
전 위 인스풀타입으로 바다에서 원투낚시하던거라 ㅎㅎ
젝아 가끔 조력이 오래된 꾼을 만나면
이새끼가 조력이 오래댓는지 안댔는지 물러볼라치면
"인스풀 써봤냐?" 로 시작합니다... 일단 그라문 대충 게임 오버 ㅎ
인스풀타입은 장점은 거의 없고
단점 밖에 없습니다.
로터에 실이 한번꼬이면 완전분해해야 하는데
완전분해 일반인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ㅠㅠ
또한 로터의 무게가 많이 나가기도 하구여...
앗... 이상한 단어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참에 용어 정리좀 해볼까요???
스피닝릴의 각부위별 용어를 정리해봄니다. 알필요가 잇는것만 정리하여 보져 뭐..
또 이상한 릴을 한번 볼까요?
젝아 현재 소장하고 있느니넘이 없어서 사진좀 퍼왔습니다.,
퍼온곳은 디씨낚갤
원작자는 플라넷 님이십니다
http://gall.dcinside.com/fishing/4112 |
이름으로 검색 |
|
자아~~ 80년대후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
한때를 풍미했던 그~~ ㅎㅎ
리어드랙릴입니다
리어 rear 뒤..라는뜻
드랙이 뒤에 쳐박혀 있다는 뜻대겠습니다.
반대로 우리가 쉽게 보는 드랙이 앞에 달린 넘들은 프런트 드랙릴 이라고 하겠지요?
예를들어
시마노 울테그라인데...
드랙이 앞에 쳐박혀 있다
구라면
아웃스풀타입 프론트드랙형 스피닝릴 이라구 한다 이겁니다 ㅎㅎ
디게 어렵네여 ㅎ
아직까지 인스풀타입 리어드랙형 릴은 못�습니다 ㅎ
구람 또 종류가 무어가 있을까??
훔... 일단 스피닝종류로는 크로즈드 페이스릴이나 레버브레이크릴이 있겠군요
그다음엔 장구통릴 씨리즈 인데 뭐 배스용도 로우프로파일형 장구형
베이릴 서프캐스팅 등등 이상한 소리가 많지만 전 베이트릴 종류에 대해서는
잘모르므로 대충만 패스합니다
크게 베이트릴은 3가지만 구분하자구여 ~~
먼저 바다 선상낚시용 커다란 장구통 릴입니다
뭐 전동식도 있고 레벨와인더가 있는넘 없는넘 수심카운터가 있는넘 없는넘 등...
뭐 일단 패스 이번 기준은 루어낚시와 바다낚시에서의 스피닝릴이므로 패스합니다
훔..이넘은 배스 루어낚시용 베이트 릴이네요. 이렇게 납작한걸
로우프로파일형태라고 불르지요
콘캐스트나 아부가르시아C처럼 동그란건 장구통형 릴이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헥갈리지 맙시다
그냥 장구통은 = 바다 선상용 커다란 릴을 말하구여
배스용 베이트 장구통릴이라하문 조그만걸 말합니다
베이트 캐스팅릴이란 뜻은
생미끼 던지는 릴이란 뜻입니다
원래 개구리등 무거운 생미끼를 사용하기 위해서 미국에서
개발되었다고 하는데 훔...
자아~~ 그럼 이제 도표를 통해 릴의 종류들을 알아보지요 (그림잘안보이므로 클릭필요망)
자아~~ 이제 릴의 역사와ㅣ
종류에 대해서는
잘 아시겠죠?
이래도 모르면 한대 팸
자 구럼
우리는 이제 여기서
바다낚시용
그리고
루어낚시용
스피닝릴의 쓰임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베이트릴 플라이릴 바다장구통릴은 일딴 꺼져주시고..
앗..여기서 바다낚시라 하면 감성돔과 벵에돔을 노리는 찌낚시 채비이고
앗..여기서 루어낚시라 하면 배스와 무지개송어 그리 등을 노리는 루어낚시 채비로 한정함을
먼저 이해하여야 합니다
왜 두가지를 비교하냐무는
바다찌낚시용 릴과
민물 루어낚시용릴은
그 크기나 종류 그리고 사용방법이 완전히 똑같기 대문입니다
뭐 비슷한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똑같습니다
즉!!! 난 죽엇대 깨도 스피닝릴 하나 가지고
민물 바다 다할꺼다.. !!! 가 가능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장사하는 사람들은 좀 서운할지 모르지만 이건 저 알루체가 보장합니다
왜?? 저역시 2500번 릴 하나 가지고
민물 바다 선상루어 고등어 등 잡어 낙시 다하기 때문입니다. 아~~!! 물론 소장하고있는 릴들은
종류별로 싸이즈별로 브랜드 별로 원만한건 다잇습니다. ㅎㅎ
자 구람 바다 찌낚시용 릴과 루어낚시용 릴의 공통적인 사용조건을 알아볼까여??
크기 :
너무 작으면 곤란하다...적당한게 좋은데 그 적당한거라는게 졸 어렵다
대충 사용하는 라인을 기준으로 2.5호줄 150미터나 130미터 기준으로 하자
무게 :
당근빳다 가벼운게 좋지
사용하는 줄의 길이 :
바다찌낚시에선 보통 30m 흘린다고 치고 길어야 50m 60m 범위이다
아주 특이한 경우 원줄 다푸는 경우도 있지만 진짜 예외다.
루어낚시에서도 보통 던져봐야 30m 이다 가끔 장타친다고 날려먹어도 50~60m 가 고작이다
사용하는 줄의 홋수:
바다에서는 기본이 2.5호줄로 합니다. 믈론 플로팅 카본이구여
전유동의 경우 2호줄 이하로 사용하기도 하며
어느정도 뽀다구를 중시하는 군들은
1.7호가지 쓰기도 합니다
젝아 그랫었습니다 ㅎㅎ 3호줄 쓰고 있으면 무식하다고 할라구 ㅎ
그러나 지금은 저도 2.5호줄이나 3호줄을 사용합니다
루어낚시에서는
전 매우 특이하게도 2.5호줄을 사용합니다
왜? 바다 겸용으로 쓸라구 하다 보니깐 ㅎ
하여간 루어낚시에서는 2호줄이 가장 적당합니다
무슨 스피닝은 가벼운 채비라 1호줄 1.5호줄도 사용하지만
2호줄을 기본으로 칩니다. 2호나 2.5호나 거기서 거기네요
어떤가여 상당히 사용 조건이 유사하지 않은가여??
그럼 자세한 릴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해서
1) 줄의 홋수와 종류
2) 릴에 쓰여있는 1000번 2000번 이런 번호들의 관계를 알아봄니다
먼저 아래 도표를 봅시다
뭐 대충 한번 정리해보앗습니다.
간단합니다
라인은 150m 단위나 300m 600m 단위로 포장되어서 판매합니다
0.5 = 2lb (엘비혹은 파운드라고 읽음.. 가끔 홋수는 줄의 두께를 말하는거고 lb 는 줄의 인장강도를 말하는거라고 박박우기는 덜떨어진것들이 있는데... 구게 아니라 홋수는 일본식이고 엘비는 미국식임..낵아 줄 몽땅사서 마이크로 미터로 다 재어 봤는데 표기 홋수및 엘비가 실제와는 다른경우가 80%...
아무리 얇고 좋은 라인도 두께앞엔 장사없음...)
4lb = 1호
6lb = 1.5호
8lb = 8호
12lb = 3호
라구 구분합니다.
기타 카본줄이던 나이롱 줄이던 합사든 이건 나중에 한번~~
자 이제 이해가 갈겁니다
2호줄 (8lb)를 150미터 감을수있는것이 2000번 릴입니다
물론 시마노 기준입니다. 다이와건 120% 크다고 보심대구여~~
자 구럼 여기서
어떤릴을 선택할것인가 생각해 봄니다
무슨 꺽지에는 1000번
배스엔 2000번 바다에선 C3000 ...이런 이야기는 맞지 않습니다.
무슨 무슨 드랙힘을 가지고
천번보다 이천오백번이 파워가 더 쎄느니 등등 이야기 하는것 잘못입니다
천번이나 2500이나 파워 똑같습니다
단 천번하고 6천번하고는 파워가 차이가 나겠지요
대상어에 따라 장비를 나누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의 출조 성향에 따라 장비를 나누는 것입니다
일단 2000번을 기본으로 치구여
기본으로 치는 이유는 가장 다양한 현장에서도 어울리기 때문입니다
배스낚시에 2000번 릴이 쓰이는것이 이상하지 않는것처럼
바다 감성돔 낚시에도 2000번이 이상하지 않습니다.
그럼 스타일을 한번 분석해 볼까요??
1. 내 스타일은
민물과 바다가 50:50 이다
구람 2000번을 선택하면 됩니다
2. 내스타일은
출조 횟수는
민물 80% 바다 20% 인데
항상 마음속에 바다를 그린다
그럼 2500번을 선택하심 대겟습니다.
3. 내스타일은
출조횟수 상관없이
바다 전용으로 감성돔도 하고 선상농어도 하고 구러구 싶다 구럼
C3000 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4. 내스타일은 주주장창 민물만하다
그러나 가끔 나들이 바다출조나 따라가구 구런다 무거운건 졸 싫타
하문 1000번이나 1500번을 선택하문 대겠습니다
참고로 알루체 스타일은
무조건 2500번이나 C3000 입니다.
이유는 위 스타일넘버 2이기 때문입니다
자아 이제 나의 출조 스타일에 맞는 릴을 골랐습니다.
일단 하나 보지요 보지요?? 훔훔
시마노 스텔라 2500번입니다 아 04년식이네요
스피닝릴에 잇어서 다이와 세르테이트와 더불어 최고의 고가제품입니다
뭐 스피닝중 최고의 고가제품이지만 루어낚시에서 사용하는
베이트릴 고가에 비하면 장난이지요 ㅎ
이번엔 레버브레이크 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버브레이크릴 속칭 LB 릴 (lever brake)
레버브레이크릴이 처음 대중화되었을때가 아마도
1993년경일겁니다
당시 젝아 주력기종으로 쓰고있던
반도 (지금 바낙스의 전신) 레포츠의 FX600 씨리즈를 주력으로 쓰고 있을 때엿습니다.
삼촌이 다이와 엠블렘Z 라고 하는 신기한 릴을 하나 주엇습니다.
뭔 손잡이가 하나더 있는거 아니겠습니까??
당시 낚시잡지에서
레버브레이크릴을 자동차의 오토매틱에 비유한 광고를 본적이 있네요
그런데 아닙니다 엘비릴은 자동차로 따지면 수동입니다
드랙릴이 오토매틱이지요
역전방지레버를 OFF 상태로 사용해야 하는 릴입니다
레버를 잡으면 그 레버가 역전방지 장치를 대신한다고 생각하심대구여
엘비릴에
가느다란 목줄이 맞자고 용한다고 하는데 제 견해는 반대입니다
정밀함과 부드러운 줄풀림은 드랙릴을 따라올수없습니다. 단 드랙조이는 노하우가 관건이네요
하여간 저랑은 맞질 않아서
LB 릴에는 적응을하지 못하고
아직까지 드랙릴.....유저로 남아있습니다 ㅠㅠ
일단 사진을 한번 보지요 보지요??
다이와 모모모모네요
레버브레이크릴에 대해선 별로 관심이 없어서
기종은 정확히 모르겟습니다.
사진은 울산 신신에서 따왓습니다.
뭐..알루체 처음 강좌대로 정확히 부르자면
아웃스풀타입 노드랙 레버브레이크릴 ㅎㅎㅎ
한때 드랙릴과 레버브레이크릴의 장점을 합친 국산릴이 창영포커스인가??? 에서..
나왔었는데 금방 사라지드라구여 ㅠㅠ
자아 이제 스피닝릴의 종류에 대해서는 거의다 알아본것 같습니다.
그럼 이제 릴에 씌여있는 여러가지 기호들을 한번 볼까요?
S
쉘로우 스풀입니다 2000s 이런식으로 씌여잇더군여
깊이가 얇아서 2000s 라면 2000의 드랙력은 같은데 스풀에 권사량만 작은것이 대겟습니다.
아가 이야기 했듯 1000번이나 2500번이나 드랙력의 차이는 없습니다
전 대체 왜 쉘로우 스풀을 사는지 도대체 이해가 안갑니다
DH
더블핸들입니다
핸들 손잡이가 두개 있는것이지요
사진을 한번 볼까여??
핸들이 베이트릴처럼 두개입니다
왜?? 더블핸들을 채용했을까여??
바로 밸런스때문입니다
베이트릴의 릴링이 더 부드럽게 느껴지는 이유가 핸들의 밸런스입니다
모든 베이트릴은 핸들이 두개지여 ㅎ
핸들 손잡이가 두개이면
자연히 릴링시 균형이 맞습니다... 진동이 감소되지요
근데 전 스피닝에 무게 추가해가면서
더블핸들 쓰는거 비추합니다
오히려 바다낚시에서는 원줄이 날리다가 핸들에 걸리적거리는 이유중에 하나됩니다.
C
콤팩트 (compact) 의 약자입니다
C3000 이라 하고 앞에 붙지요
미니 3000이란 뜻입니다
권사량은 3000번인데 크기는 2500번만한것... ..젝아 제일 좋아하는 사이즈 입니다
훔... 또 어떤 기호가 있나???
생각나문 또 없댓해보지요
자 구럼 여까지 스피닝릴의 선택에 대한
그 종류와 역사를 공부해 보앗습니다.
다음편엔
릴의 올바른 사용법과 관리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고 오늘은 여기까지 ㅎㅎ
알루체
추신 : 알루체 글은 저작권없읍
무단으로 퍼가던 편집하던 맘대로 ㅎㅎ